[CodeDeploy] TroubleShooting

CodeDeploy Throuble Shooting


그림 1-1 The overall deployment failed because too many individual instances failed deployment, too few healthy instances are available for deployment, or some instances in your deployment group are experiencing problems.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배포를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Continue reading

[CodeDeploy] In Place 배포 실습

CodeDeploy로 In Place 배포


그림 1-1 IAM을 검색한다.
그림 1-1 좌측 메뉴에서 [역할]을 클릭한 후 [역할 만들기]를 클릭한다.
그림 1-1 그림 1-1 [AWS 서비스]->[CodeDeploy]를 순차적으로 클릭한다.
그림 1-1 [AWSCodeDeployRole]을 클릭해서 어떤 정책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다.
그림 1-1 역할 이름을 입력후 역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서 CodeDeploy를 위한 역할을 생성한다.
그림 1-1 정책을 생성해 EC2 인스턴스를 역할을 정해야한다. 좌측 메뉴에서 [정책]-[정책 생성]을 클릭한다.
그림 1-1 그림과 같은 JSON코드를 입력해서 정책을 설정해준다. 내용은 S3의 읽기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설정을 완료 후 코드로는 포함되지 않는 설정이 하나 있어서 별도로 설정을 해주어야한다.
(CodeDeploy Agent가 S3에서 업로드된 파일을 가져오기 때문에 읽기 권한이 필요하다.)
그림 1-1 정책 검토 단계에서 그림과 같이 입력해준다.
그리고 요약 부분에서 허용(1/239)옆의 ‘나머지 238’이라는 글자를 클릭해서 읽기 목록에서 제외된 하나의 항목을 클릭해서 엑세스 레벨 읽기가 전체허용이 되도록 해줘야한다.
그림 1-1 IAM화면에서 [역할]-[역할 만들기]를 클릭한다.
이는 생성한 정책을 적용하기 위함이다.
그림 1-1 [AWS 서비스] - [EC2]를 클릭한다.
그림 1-1 이전에 생성한 정책인 exercise-code-deploy-ec2-policy를 검색해서 선택한다. 그리고 생성한다.
그림 1-1 그림과 같이 생성을 완료한다.
그림 1-1 다음은 배포가능한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해 EC2를 검색한다.
그림 1-1 그리고 이전에 중지 시켜둔 인스턴스를 다시 실행상태로 되돌린다.
(인스턴스를 Auto Scailing을 통해서 CodeDeploy Agent를 설치해줘야하기 때문에)
그림 1-1 PuTTY를 통해서 인스턴스에 접속한다.
그림 1-1

	$ cd /sub/Mypro/
	$ rm -rf aws-exercise-*
#CodeDeploy는 자신이 배포할 디렉터리에 파일이 있은 경우 에러상황이라고 인식하기 떄문에 삭제해야한다.  
	
	$ wget https://aws-codedeploy-ap-northeast-2.s3.amazonaws.com/latest/install
	$ chmod +x ./install
	$ sudo ./install auto
	$ sudo service codedeploy-agent status
	$ sudo shutdown -h now

그림 1-1 인스턴스가 ‘중지’ 된 것을 확인하고 이미지 생성을 한다.
그림 1-1 위의 그림과 같이 설정한다.
그림 1-1 이미지를 생성 후 위 그림과 같이 이미지가 생성된 것을 확인한다.
그림 1-1 방금 생성한 이미지를 사용하기 위해서 시작 템플릿을 만들자
좌측 메뉴에서 [시작템플릿]->[시작 템플릿 생성]을 클릭한다.
그림 1-1 그림 1-1 그림 1-1 설정은 위의 그림과 같이 해준다.

Continue reading

[EC2] 로드 밸런서 장애 대처 실습

로드 밸런싱 장애 대처


실제로 AWS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서가 어떤 식으로 장애에 대처하는 지 확인해보도록 하자.

그림 1-1 좌측 메뉴에서 로드밸런싱 -> 대상 그룹을 클릭하고 생성한 그룹 명을 클릭한다.

그림 1-1 그룹명을 선택하면 위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그러면 Group details를 클릭하고 edit를 클릭한다.
그림 1-1 그리고 설정을 위와 같이 맞춰준다.
Healthy threshold, Unhealthy threshold, Timeout를 모두 2로 설정

그림 1-1 좌측의 Auto Scailing -> Auto Scailing 그룹에서 Exercise-group을 선택한 뒤 세부정보의 편집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그림과 같이 원하는 용량, 최소용량, 최대용량을 모두 2로 맞춰준다.

Continue reading

[EC2] 로드 밸런싱 실습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로드밸런싱은 로드를 분산하는 기능이다.
예를들어, 하나의 인터넷 회선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대신 두 개의 인터넷 회선을 사용하는 것. 이렇게 되면 데이터가 두 라인 중 하나를 선택해서 이용하기 때문에 로드가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WS에서는 로드 밸런서의 기능을 하는 서버를 내부적으로 관리를 한다. 따라서 로드 밸런서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거나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고 있는 서버로는 요청을 보내지 않는다.

Continue reading

[EC2] Auto Scailing 실습

Auto Scailing이란?


aws auto scailing이란 aws에서 제공하는 자동 다중 서버 서비스이다.
같은 사양, 환경, 코드를 가진 EC2 인스턴스의 묶음이다.
이 서비스는 서비스에 클라이언트가 많이 몰려드는 경우에 서버 수를 늘리고 클라이언트의 엑세스가 적을 때에는 서버의 수를 자동으로 줄인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여러 대의 서버를 운용하는 것보다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의 수의 서버를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하다.

Auto Scailing 설정


그림 1-1 auto scailing 하고자 하는 인스턴스를 실행 중지 시킨다.
그 다음 [이미지]에서 [이미지 생성]을 클릭한다.

Continue reading

[EC2] 인스턴스 요금정책

온디맨드 요금정책

각 운영체제에 따라 다른 가격이 매겨진다
그림1-3 그림1-4 예를 들어, m5.12xlarge 컴퓨터를 하루동안 사용하면 23.04USD*24시간=552.96USD(655,810원)라는 가격이 청구된다. 요금이 비싸게 느껴지지만 실제 m5.12xlarge 사양의 컴퓨터를 사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보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서 처리하는 것은 더 저렴하게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Continue reading

[EC2] 인스턴스 생성과 리눅스로 실행

인스턴스 생성


-Step 1: AMI 선택

AMI는 쉽게 말해 운영체제를 선택하는 것
그림1-1 Linux, Ubuntu, Windows 등 각종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Step 2: 인스턴스 유형 선택

그림1-2 사용할 인스턴스의 사양을 선택한다. (자신이 사용할 성능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 프리티어가 적힌 기능만 1년간 무료로 사용가능 (프리티어 EC2 요금 정책)
유형(Type):Large>Medium>Small>Micro>Nano
유형 중 메모리 성능이 높은 것은 m, CPU의 성능이 높은 것은 c가 붙어있다.

-Step 3: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

그림1-6 종료 방식: 만든 컴퓨터를 중지할 것인지 종료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 중지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끄고 사용할 때는 켤 수 있어서 요금을 아낄 수 있다.

-Step 4: 스토리지 추가

그림1-7 메모리 크기: 30GB 까지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볼륨 유형: SSD 타입과 마그네틱 타입을 설정할 수 있다.
IOPS: 저장장치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종료 시 삭제: 현재 만드는 저장 장치는 인스턴스와는 분리된 저장장치이다. 체크를 하면 인스턴스 삭제 시 같이 삭제됨.

-Step 5: 태그 추가

그림1-8 인스턴스를 만들고 해당 인스턴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환경에 따라 수백 개의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Step 6: 보안 그룹 구성

그림1-9 리눅스는 유형이 SSH로 지정되지만, 운영체제를 윈도우로 했다면 RDP로 지정된다. 웹서버로 사용하려면 HTTP를 추가하고 소스는 위치 무관으로 설정해서 80번 포트를 통해서 어떤 위치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한다

-Step 7: 인스턴스 시작 검토

그림1-10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전에 현재까지의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제대로 입력이 되었다면 시작하기 버튼을 누른다.

-Step 8: 키 페어 생성


그림1-11 새 키 페어 생성을 선택하고 이름을 설정해준다-> 키페어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가 파일로 저장된다. (주의: 키 페어를 발급 받으면 다시 발급되지 않음)

-Step 9: 인스턴스 생성완료

그림1-12 생성된 인스턴스(i-07f6440…)를 클릭

그림1-13 생성 완료된 인스턴스를 확인할 수 있다. (인스턴스 상태가 ‘pending’인 상태라면 ‘running’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린다.)

Continue reading

Pagination


© 2020.09. by Zeeen

Powered by jin-hw